Study(3)
-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주택의 종류 기출문제
건축물 A의 현황이 다음과 같을 경우, 건축법령상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는? 층수가 4층인 1개 동의 건축물로서 지하층과 필로티 구조는 없음 전체 층을 주택으로 쓰며, 주택으로 쓰는 바닥 면적의 합계가 600㎡임 세대수 합계는 8세대로서 모든 세대에 취사시설이 설치됨 ① 기숙사 ② 다중주택 ③ 연립주택 ④ 다가구주택 ⑤ 다세대주택 -—— 정답. ⑤ 3개층 이하인 건물:다중주택, 다가구주택 바닥의 면적합계 660미터 초과: 연립주택 다중주택 - 학생 또는 직장인 등 여러사람이 장기간 거주하는 곳 - 독립된 주거 형태를 갖추지 아니한 것 (실별 욕실 설치 가능 및 취사시설 불가) - 1개 동의 주택으로 쓰이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660제곱미터 이하 - 주택으로 쓰는 층수(지하층제외) 가 총 3개 이하 - 적정한..
2023.03.07 -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기출 (2) 토지 관련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토지 관련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택지지역 내에서 주거지역이 상업지역으로 용도변경이 진행되고 있는 토지를 이행지라 한다. 2) 필지는 하나의 지번이 부여된 토지의 등록단위이다. 3) 획지는 인위적/자연적/행정적 조건에 따라 다른 토지와 구별되는 가격수준이 비슷한 일단의 토지를 말한다. 4) 나지는 건부지 중 건폐율/용적률의 제한으로 건물을 짓지 않고 남겨둔 토지를 말한다. 5) 맹지는 도로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토지이다. --- 정답 4번 공지는 건부지 중 건폐율/용적률의 제한으로 건물을 짓지 않고 남겨둔 토지를 말한다. 나지는 토지 건물 기타의 정착물이 없고 지상권 등 토지의 사용/수익을 제한하는 사법상의 권리가 설정되어있지 않는 토지를 말한다.
2023.02.20 -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기출 (1) 토지용어
이용상태에 따른 토지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부지는 도로부지, 하천부지와 같이 일정한 용도로 이용되는 토지를 말한다. 선하지는 고압선 아래의 토지로 이용 및 거래의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 맹지는 도로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한 필지의 토지다. 후보지는 임지지역, 농지지역, 택지지역 상호간에 다른 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어느 지역의 토지를 말한다. 빈지는 물에 의한 침식으로 인해 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하천으로 변한 토지를 말한다. 정답: 5번 부지(모든 땅을 의미): 건축할 수 있는 토지와 건축할 수 없는 토지를 포함하고, 도로부지, 하천부지와 같이 일정한 용도로 이용(또는 제공)되는 바닥토지 선하지: 고압선(송전선) 아래의 토지로 이용 및 거래의 제한을 받는 경우가 많다. (감가현상) 맹지: 타인의..
2023.02.15